임플란트 의료보험 적용대상 및 조건
- 유용한정보
- 2021. 6. 13.
임플란트 의료보험 적용대상 및 조건
임플란트 의료보험적용대상
옛날에는 임플란트 시술을 받으려면 비용이 만만치 않았는데 이제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을 큰 부담없이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임플란트가 보편화가 되고 의료비가 낮아지면서 의료보험(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확대되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의료보험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연령(나이)를 비롯하여 다양한 조건이 맞아야 합니다.
이번에 알려드릴 정보는 치과 임플란트 의료보험적용대상 대한 내용인데요 이내용을 정확하게 숙지 하신 상태에서 치과를 방문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임플란트 의료보험적용 대상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아신다면 치료비에 대해 치과(병원) 측과 원활하게 의사소통이 가능하기 떄문 입니다. 치과에서 설명해주는 내용을 확실하게 이해하시고 본인의 상황에 맞춰 유리한 선택을 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시술이란?
임플란트 시술은 없어진 치아 대신 치아에 잘 맞는금속(티타늄 합금)으로 만든 뿌리를 잇몸 뼈에 심은 다음 치과 보철불을 연결하는 치료 방식 입니다. 임플란트의 좋은점은 원래 있었던 치아와 거의 비슷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겉으로 보기에도 자연 치아와 거의 큰 차이가 없으며, 기능적으로 편안하게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또한 임플판트의 장점은 옆에 있는 치아를 제거하지 않아도 시술할 수 있는데요. 이가 빠진 부분만 인공적으로 심을 수 있으며, 빠진 치아 기능을 살리고 자연 치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임플란트 의료보험 적용대상
만 65세 이상 의료보험(건강보험) 가입자나 피부자양자 임플란트 보험 적용 대상이며
또한 의료보험이 적용되는 임플란트 재료도 정해져 있습니다.임플란트 의료보험 조건
- 앞니, 어금니 상관 없이 평생 2개 임플란티 지원 가능함
- 무치악의 경우 적용 대상 아님
- 내부:금속
-외부:도자기로 된 형태인 PFM 크라운만 지원이 됨
완전 도자기 형태의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경우 의료보험적용은 안됨
- 뼈 이식 등의 경우 별도 추가 비용이 발생(치조골 이식의 경우 의료보험적용 대상 아님)
임플란트 비용
2018년도 보험 부담률 인하로 인해 30% 본인 부담금 발생 임플란트 고정체 및 상부구조물의 재료 와 회사 등에 따라 다르며 평균 30만원 후반대에서 40만원 초반대 일것으로 예상
임플란트는 세가지 구조물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고정체
잇몸 뼈에 심는 금속 구조물
크라운
치아 모양의 보철물
지대주
크라운과 고정체를 연결하고 치아의 기둥을 역할 하는 구조물
임플란트와 틀니의 차이점
틀니 | 임플란트 | |
시술방법 | 잇몸 모양의 틀을 본떠서 트린를 제작 하여 잇몸에 착용함 |
잇몸에 임플란트 식립 후에 고정함 |
잇몸뼈 손성 |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잇몸에 손상을 줌 |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잇몸 손상은 없음 |
수명 | 잇몸이 흡수되므로 지속적으로 틀니를 새로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 |
사후 관리만 잘해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 |
저작력 | 기존 치아의 30% 남아 있어 딱딱 한 음식을 먹기가 불편함 |
기존 치아의 70~80%가 남아 있어 딱딱한 음식 먹어두 무리가 없음 |
임플란트 주의사항
임플란트를 하시려면 잇몸뼈가 충분하게 있어야 합니다. 만약 잇몸 뼈가 부족하시다면 뼈 이식 후에 임플란트가 가능한데요 또한 임플란트의 경우 시술 외에도 사후관리가 중요하며 평소 치아를 청결하게 유지하시고 정기적으로 치과 정기검진을 통해 오랫동안 임플란트를 건강하게 사용하시길 바라며 이상 글 을 마치겠습니다.
2021.04.25 - [유용한정보] - 청년희망키움통장 자격요건 및 신청방법
2021.06.15 - [유용한정보] - 경차 유류세 환급제도 및 조건 및 대상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장기렌트장단점 어떤것이? (0) | 2021.06.14 |
---|---|
운전면허재발급방법 기간 및 준비물 (0) | 2021.06.13 |
하이패스 미납요금 납부 방법 및 조회(5가지 총정리) (0) | 2021.06.13 |
개인파산 신청비용 및 조건 총정리 (0) | 2021.06.05 |
건강검진 미수검 과태료 패널티 (0) | 2021.05.27 |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란? 선정 기준 운행 제한 (0) | 2021.05.20 |